전기세 조회 방법을 몰라 불편을 겪거나, 전기요금 계산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예상보다 많은 요금을 납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세 조회 방법(PC·모바일), 아파트·주택·상가별 전기요금 계산법, 전기요금 절약 팁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 전기세 조회 방법 (PC·모바일)
전기요금은 한전(한국전력공사) 공식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한전ON 홈페이지 이용하기 (PC&모바일)
💡이용 방법:
- '한전ON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로그인 후, '요금조회/납부' 메뉴를 선택합니다.
- '전기요금 간편조회'를 클릭합니다.
- 고객번호를 입력하면 현재 요금 및 납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ip:
- 고객번호를 모를 경우,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확인하거나, 한전 고객센터(☎123)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 연체 여부 및 납부 내역도 함께 조회 가능합니다.
(2) 한전 파워플래너 앱 활용하기 (모바일)
💡 이용 방법:
- 앱스토어에서 '한전 파워플래너'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 로그인 후, '우리 집 전기요금 미리 보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 현재까지 사용한 전기량과 예상 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ip:
- 시간대별, 요일별, 월별 전력 사용량 분석이 가능합니다.
- 에너지 절약 방법 추천 기능을 제공합니다.
2. 아파트·주택·상가 전기세 계산법
전기요금은 거주 형태(아파트·주택·상가)와 요금제에 따라 다르게 계산됩니다.
특히 아파트 및 단독주택은 누진제 적용, 상가는 누진제 미적용이므로 정확한 계산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아파트 전기세 계산법 (공동주택)
- 주택용 저압 요금제 적용 (누진제 O)
- 개별 세대의 사용량에 따라 요금 부과
- 공용 전기 사용량(복도·엘리베이터·주차장 조명 등)은 관리비에 포함됨
- 기본요금 + 전력량 요금 + 부가세(10%) + 전력산업기반기금(3.7%)
[전력 사용량에 따른 기본요금]
사용량(kWh) | 기본요금(원) | 전력량 요금(원/kWh) |
0~200kWh | 910원 | 88.3원 |
201~400kWh | 1,600원 | 182.9원 |
400kWh 이상 | 7,300원 | 275.6원 |
📌 예시: 한 달 350kWh 사용 시 요금 계산
- 기본요금: 1,600원
- 전력량 요금
- 200kWh × 88.3원 = 17,660원
- 150kWh × 182.9원 = 27,435원
- 부가세(10%): 4,670원
- 전력산업기반기금(3.7%): 1,668원
✔️ 최종 전기요금: 약 53,033원
(2) 단독주택 전기세 계산법
- 아파트와 동일한 주택용(저압) 요금제가 적용됩니다. (누진제 O)
- 공용 전기 사용량이 없으며 세대별 사용량만 반영됩니다.
📌 예시: 250kWh 사용 시 요금 계산
- 기본요금: 1,600원
- 전력량 요금
- 200kWh × 88.3원 = 17,660원
- 50kWh × 182.9원 = 9,145원
- 부가세(10%): 2,841원
- 전력산업기반기금(3.7%): 992원
✔️ 최종 전기요금: 약 32,238원
📌 Tip:
- 다가구주택은 세대별 개별 계량기 사용 여부에 따라 요금 부과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대가족 가구(5인 이상)는 한전에서 전기요금 할인 혜택 신청 가능합니다.
(3) 상가 전기세 계산법
- 상업용 전기요금(일반용 저압/고압) 적용됩니다.
- 주택용보다 단가가 높고 누진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전력 사용량이 많은 업종(식당, 카페, PC방 등)은 전기요금이 비쌀 수 있습니다.
[일반 상업용 저압 요금표 (50kW 이하)]
기본요금(원/kW) | 전력량 요금(원/kWh) | |
일반용 저압 | 6,160원 | 107.1원 |
📌 예시: 500kWh 사용 시 요금 계산
- 기본요금: 6,160원
- 전력량 요금: 500kWh × 107.1원 = 53,550원
- 부가세(10%): 5,971원
- 전력산업기반기금(3.7%): 2,139원
✔️ 최종 전기요금: 약 67,820원
📌 Tip:
- 상가에서는 심야 전력 요금제(TOU, Time of Use) 활용 시 전기료 절감이 가능합니다.
- 업종별 전기요금 할인 혜택이 있는지 한전 고객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3. 전기세 절약 꿀팁
- 전력 사용량 줄이면 주택용 요금제 누진제 부담이 완화됩니다.
- 고효율 가전제품 사용 시 한전에서 전기료 절감 혜택이 제공됩니다.
- 전기요금 할인 대상자라면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다자녀 가구 등)
- 상가는 심야 전력 요금제 활용이 가능합니다.
전기세 조회와 계산방법이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 글에서는 '전기세 납부방법 및 자동이체 등록', '전기세 할인과 감면혜택'까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전기세 납부방법'은 알고 계신가요? 자동이체등록, 할인혜택까지 다른 정보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
.
전기세 납부 방법 총정리 자동이체 신청, 할인·감면 혜택, 연체 시 해결법까지
전기요금은 매달 납부해야 하는 고정 지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납부 방법을 몰라 불편을 겪거나, 자동이체를 설정하지 않아 연체료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기세 납부 방법, 자동이체
star402.tistory.com